-
[3분 요약] 래리 크랩, <에덴 남녀> #04. 복종/복종의 진정한 의미Book review 2023. 2. 12. 18:09
래리 크랩, <에덴 남녀>, 복있는 사람 "남편과 아내가 상호 복종의 관계 속에 사는 것이 그분의 계획이다. 남편의 복종은 사랑에서 비롯된 권위이며, 여자의 복종은 사랑에서 비롯된 순종이다."
.
5-6. 복종/복종의 진정한 의미
- 남편과 아내가 상호 복종의 관계 속에 사는 것이 그분의 계획이다.
- 복종하는 방식이 다르다.
- 남편의 복종의 핵심은 사랑에서 비롯된 권위이며, 여자의 복종은 사랑에서 비롯된 순종이다.
- 세 번째 길? 복종은 불쾌한 개념이며 구시대의 유물이다.
- 바로 잡아야 할 오해
- 아내를 부하로 착각했다: 저자는 엄한 부사관(남편)으로서 여성 일등병(아내)을 바라보고 있었다고 고백한다. 간호사(아내)를 지위하여 심장수술을 집도하는 의사(남편)처럼 행동했다고 고백한다.
- 돕는 배필의 원어 표현
- 에제르(에셀): 돕는 자, 강한 자가 베푸는 도움(보에토스)
- 케네그도: 배필, 적합한 사람(아랫사람이라는 의미가 아님).
- 두 가지 이야기: 여자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? 범사에 복종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말하는가?
- 앤의 이야기: 어느 부부와 서로 상대를 바꾸어 섹스를 하자는 남편의 제안을 받음.
- 진의 이야기: 새차를 구입하기 위해 과장 및 허위 계약서에 도장을 찍어달라는 남편의 제안을 받음.
- 깨끗한 진리1. 복종은 아버지의 뜻을 이루시려는 예수님처럼 행동하는 것이다: 남편이 아내를 통해 하나님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도록, 잘 분별하여 그분의 아름다움을 가장 분명히 드러내 줄 수 있는 말과 행동을 하라.
- 깨끗한 진리2. 복종은 ‘더 큰 계획 아래 선다’는 뜻이다: 복종에 필요한 것은 반사적 순종이 아니라 지혜로운 분별력이다. 당신의 행동은 그 순간 자신이 원하는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영원한 이야기를 해야 한다. (그게 뭘까?)
- 깨끗한 진리3. 복종은 행동보다 태도가 효과적이다: 온유함을 뜻하는 헬라어 단어 ‘프라우스’는 ‘통제된 힘’을 뜻한다. 온유한 여자는 내면의 힘에 의지하여 행동을 결정한다.
- 깨끗한 진리4. 베드로는 여자들에게 사라를 아름다운 복종의 모본으로 제시한다: 남편이 신앙으로 행동할 수 있게 도왔고, 사라는 자신을 열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남편의 행동(100세에 아내와 성관계)을 받아들였다. 사라는 여성성이 충만하게 살아있는 여자로서 하나님의 목적에 복종했다.